
서울시버스노동조합이 예고한 파업이 이틀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서울시는 파업에 대비한 비상수송대책을 점검하고 노동조합의 불법 조업 방해행위에 대비한 대응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.
앞서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조연맹은 오는 27일까지 임금 및 단체협상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28일 첫차부터 전국 동시 파업에 돌입할 것을 밝힌 바 있다.
우선 지하철은 출퇴근 시간 혼잡 완화 및 대중교통 이용 불편을 완화하기 위해 1일 총 173회를 증회 운행한다.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투입을 늘리고, 지하철 막차도 익일 02시까지 연장해 심야 이동도 지원한다.
또한 서울 25개 각 자치구에서는 주요 거점 및 거주지에서 지하철역까지 무료셔틀버스를 운행한다. 총 117개 노선 625대를 운영할 예정이다.
올해는 차고지별로 공무원을 파견하여 노조가 위법한 방법으로 조업을 방해할 경우 경찰과 업무협조를 통해 신속하게 조치할 예정이며, 이를 통해 정상적으로 조업을 하고자 하는 운수사 및 운전기사의 영업권이 방해받지 않도록 만전을 다할 계획이다.
아울러 이번 파업은 예년과 달리 전국단위의 동시 파업이 예고되어 인천·경기 지역 버스도 파업에 참여할 시 수도권 버스 운행이 전반적으로 중단될 우려가 있는 만큼 시내 초․중․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등에 파업 기간 중 등교 및 출근 시간의 1시간 조정을 요청했다.
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“서울시는 불법적인 조업 방해 행위에 대해 엄정 대처하는 한편, 시민 불편이 최소화 되도록 비상수송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. 다만 전면 파업 시 출퇴근 시간에 극심한 혼란이 예상되는 만큼 시민 여러분께서도 재택근무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주시길 당부드린다”라면서 “파업을 예고한 시한이 아직 남아있는 만큼, 노사는 시민들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원만히 임금협상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이해와 양보를 당부드린다”라고 밝혔다.